![](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K0uR/btroi45TumL/mRQk7ExrKoo9fpERtZDNcK/img.png)
손익계산서는 재무상태표와 함께 기업의 경영 상태와 성과를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재무제표 입니다. 특히 기업이 일정 기간 사업을 통해서 얼마나 돈을 벌었는지 (매출), 거기서 얼마의 수익을 얻었는지 (영업이익), 이런 저런 제반 비용을 뺀 최종 수익 (당기순이익)은 얼마인지를 알 수 있는 핵심 재무제표 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집에서 매일 쓰는 가계부를 월말에 종합하여 벌어들인 소득에서 각종 비용을 차감하고 남은 수익을 계산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단기의 수익만을 계산하는 용도가 아니라 장기적인 매출의 추이, 비용의 변화, 수익의 증감 등을 분석하여 기업의 사업성과 장래성을 파악해 볼 수도 있습니다. 손익계산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이제 각 계정에 대해서 알아 보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IKL6/btrnC31Ci9P/4qYeFq2KKYATSGIKtDoz11/img.png)
지난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재무상태표 이해하기 중 부채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맨 아래 링크를 통해서 지난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지막으로 자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다시 기본을 확인하고 넘어 가야 겠지요? 자산 = 부채 + 자본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지요 재무상태표는 이렇게 생겼었지요. 자 그럼 오른쪽 아래에 있는 자본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자본이란 쉽게 말하여 회사를 설립할 때 투자한 초기 자금과, 이후 경영을 통하여 생긴 이익 중 사용되지 않고 쌓인 이익잉여금과, 기업 공개나 외부 투자를 통해 유치한 외부 자금들의 합을 말합니다. 그래서 부채처럼 원금을 상환해야 할 의무는 없지만, 기업의 이익을 배당하거나, 기업이 청산할 때 청산금을 나누어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5elZr/btrnhAZkH8n/z9KkUgysQLdUYfcy2kCmbK/img.png)
지난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재무상태표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과 자산의 세부 계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맨 아래 링크를 통하여 지난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부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다시 회계 원리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지겹게 반복되지만 이것만 알면 회계의 반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료는 이렇게 생겼었습니다. 그럼 오른쪽 상단에 있는 부채의 세부 계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기업을 운영할 때 부채가 작으면 좋다고 일반적으로 인식되지만, 부채를 통하여 조달한 자금으로 더 큰 이익을 낼 수 있다면 부채가 꼭 나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개인의 경우에도 부동산을 자기 자본만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1ZxV/btrmYEhJbXJ/Nb8smvTLUtdECo86TyUsxK/img.png)
지난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회계 원리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맨 아래 링크를 통해 지난 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재무상태표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지난 글에서 다룬 회계 원리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실제 재무상태표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복잡한 계정과 숫자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가 배운 자산 = 부채 + 자본 이라는 복식부기의 원리에 의해 자산의 자금 출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제 자산, 부채, 자본 아래 있는 대표적인 세부 계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계정에 대해서 완벽히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대략 어떤 성격의 계정인지는 이해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에 초점을 맞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QDoz/btrmYb0yXkB/LukIfkWiFPlKB7GSztcDik/img.png)
주식 투자는 결국 기업이 하는 사업에 투자를 하여 거기서 발생하는 이익을 회사와 주주가 함께 나누는 것 입니다. 그래서 주식 투자자는 기업이 하는 사업이 얼마나 잘 되고 있는지, 앞으로의 전망은 어떤지를 잘 살펴야 합니다. 각 기업이 자신들의 사업 성과를 종합하여 주주와 주식 시장에 보고하는 언어가 회계 입니다. 그래서 주식 투자를 하기 전에 기초적인 회계 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 입니다. 흔히들 회계는 어렵고 복잡하다고 생각하지만, 회계 감사를 전문으로 하는 회계사 외에 개인 투자자들이 알아야 하는 회계 지식은 의외로 그리 복잡하지 않습니다. 회계의 기본 개념 현재 사용되고 있는 회계의 기본 원리는 "복식부기"이며 복식부기는 아래와 같이 한줄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그림으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