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회계 원리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맨 아래 링크를 통해 지난 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재무상태표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지난 글에서 다룬 회계 원리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실제 재무상태표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복잡한 계정과 숫자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가 배운 자산 = 부채 + 자본 이라는 복식부기의 원리에 의해 자산의 자금 출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제 자산, 부채, 자본 아래 있는 대표적인 세부 계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계정에 대해서 완벽히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대략 어떤 성격의 계정인지는 이해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산

    1)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모든 기업의 재무상태표에 가장 먼저 나오는 계정으로,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이라고 보

       면 되겠습니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현금과 수표 실물을 포함해 보통예금, 당좌예금, 양도성 예금증서 등 입니다. 

 

    2) 단기금융상품 : 말 그대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금융 상품, 즉 정기 예금이나 적금으로 만기가 1년 이내로 단기

       자산을 뜻합니다. 

 

    3) 매출채권 : 기업에서 매출이 발생하면 대부분 즉시 현금이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외상 거래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아직 현금을 지급한 것은 아니지만, 미래에 현금을 지급받게 되는 권리를 매출 채권이라고 합니다. 매출 채

        권이 발생하였을 때 회계 처리에 대해서 어렵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아래와 같이 간단히 표현 됩니다. 

 

        매출 발생 시 : (차변) 매출 채권 - 자산 계정 (+) / (대변) 매출 - 자본 계정 (+) 

        대금 지급 시 : (차변) 현금 - 자산계정 (+) / (대변) 매출 채권 - 자산 계정 (-)

 

    4) 재고자산 :  재고 자산의 종료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업이 재화를 직접 만들어서 팔면 제품, 다른 곳

        에서 사와서 팔면 상품, 제품을 반 정도 만든 상황에서 추가 가공하면 반제품 이라고 합니다. 재고 자산의 가치는 

        현금과 달리 시간에 따라 바뀌게 때문에 기업은 매 결산기마다 재고관련 가치 평가를 다시하게 됩니다. 재고 자산 

        평가 시 손실이 발생하였을 겨우 아래와 같이 회계 처리 하게 됩니다. 

 

        재고자산 평가 손실 발생 시 : (차변) 재고자산평가 손실 - 자본계정 (-) / (대변) 재고자산 충당금 자산 계정 (-)

 

    5) 미수금 : 매출 채권과 비슷한 개념으로, 미래에 현금을 받을 권리를 말하는데, 이러한 권리가 기업의 주요 영업 활

       동 외에서 발생할 때 미수금 계정으로 처리합니다. 

 

    6) 대여금 : 대여금은 말 그래도 빌려준 돈으로, 회사의 주주, 임원,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빌려준 돈입니다. 쉬운 예로

       종업원들에게 복지 혜택의 일환으로 주택 구입 자금을 회사가 낮은 이율로 직원들에게 대출해 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대여금 계정으로 처리 합니다. 

 

    7) 미수수익 : 미수 수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회계의 발생주의 원칙을 이해해야 합니다. 회계에서는 현금의 흐름에

        따라 이익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약속한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이 완성되었느냐 혹은 얼마나 진행이 되었느냐

        에 따라 이익을 인식합니다. 미수수익의 대표적인 예로 이자 수익을 들 수 있는데, 아직 이자 지급일이 도래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지나온 기간만큼의 이자수익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현금이 아직 지급되지 않더라도 해당 기간

        만큼 이익으로 인식 하게 됩니다. 

 

    8)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 토지, 건물, 기계장치, 비품 등 상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유형의 동

       산과 부동산 자산을 가리킵니다.

 

    9) 무형자산 : 유형자산과 비교되는 개념으로 실체는 없지만 식별이 가능한 자산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상표권,

        특허권, 라이선스, 회원권 등은 실체는 없지만 기업이 매출을 올리는데 도움이 되는 무형 자산이라고 할 수 있겠습

        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산의 세부 계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부채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joywealthfactory.com/5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기초 회계 지식

 주식 투자는 결국 기업이 하는 사업에 투자를 하여 거기서 발생하는 이익을 회사와 주주가 함께 나누는 것이다. 그래서 주식 투자자는 기업이 하는 사업이 얼마나 잘 되고 있는지, 앞으로의 전

joywealthfactory.com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