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재무상태표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과 자산의 세부 계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맨 아래 링크를 통하여 지난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부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다시 회계 원리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지겹게 반복되지만 이것만 알면 회계의 반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료는 이렇게 생겼었습니다. 

 

 그럼 오른쪽 상단에 있는 부채의 세부 계정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기업을 운영할 때 부채가 작으면 좋다고 일반적으로 인식되지만, 부채를 통하여 조달한 자금으로 더 큰 이익을 낼 수 있다면 부채가 꼭 나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개인의 경우에도 부동산을 자기 자본만으로 구입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은행의 대출 (부채)을 이용하여 부동산을 구입한 후 몇 년이 지나 훨씬 큰 규모의 양도차익을 남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채가 무조건 나쁘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그 세부 계정을 자세히 들여다 보고 어떠한 위험이 있는지 살필 수 있어야 겠습니다. 

 

부채

1) 차입금 : 만기의 도래가 1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는 유동 부채의 단기차임금으로 분류 합니다. 만기 도래가 1년을 초

   과 하는 경우는 비유동부채의 장기차입금으로 분류 합니다. 

 

2) 사채 : 기업이 채권을 발행하여 일정 기간 동안 자금을 조달하고 해당 기간 동안은 정해진 이자를 지급 합니다. 차입금

    과 함께 기업들의 가장 일반적인 부채 조달 방식입니다. 사채와 관련하여서는 좀 더 복잡한 회계 처리가 있지만 일반

    주식 투자자들은 사채의 개념만 알아도 충분하겠습니다. 

 

3) 전환사채 (CB) : Convertible Bond라고 불리며 일반 기업 채권에 향후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것입니다. 기업들이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단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함께 부

   여 되다 보니 일반 사채보다 저리의 이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신주인수권부사채 (BW) : Bond with warrant라고 불리며 전환사채와 다른 점은 채권 자체가 주식으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고, 채권자가 일정한 가격으로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별도로 부여하는 것입니다. 회계적으로 다소 어려운 내

   용 일 수도 있으나, 전환사채의 권리가 행사되면 부채가 줄어들고 자본이 증가하나, 신주인수권부사채의 권리가 행사

   되어도 부채는 없어지지 않고, 자본만 증가하게 됩니다. 

 

5) 매입채무 : 쉽게 생각하여 기업이 영업활동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외상으로 구입하여 지급해야 하는 모든 비용을

    가리킵니다. 주식 투자자의 입장에서 확인해 볼만한 것은 매입 채무가 정상적으로 잘 결제되고 있는지 입니다. 기한

    을 넘긴 채무가 많은 경우는 기업의 재무 상태가 좋지 않음을 암시할 수도 있기 때문 입니다.        

 

6) 충당부채 :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후에 보증기간 동안은 A/S를 해줘야 하는 경우도 있고 반품이나 환불을

   해주어야 하는 상황도 생깁니다. 그래서 매출 발생 시점에 예상되는 판매 보증비를 비용으로 인식하고 충당 부채를 쌓

   아서 실제 A/S를 제공해야 하는 시점에 충당 부채와 A/S 에 필요한 현금 지출을 상계합니다. 회계 처리로 나타내면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매출 발생 시점 : (차변) 판매보증비 (자본 감소) / (대변) 충당부채 (부채 증가)

    A/S 제공 시점 : (차변) 충당부채 (부채 감소 / (대변) 현금 (자산 감소)

 

7) 기타부채 :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선수금 등의 기타 부채 입니다. 용어만으로도 어떠한 성격의 부채인지 알 수 있는       계정들로 이름 정도만 기억해도 좋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부채 항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마지막 부분인 자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ttps://joymarkstory.tistory.com/6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재무상태표 이해하기

 지난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회계 원리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맨 아래 링크를 통해 지난 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 중 가장 기본

joywealthfactory.com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