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글에서는 2021년 애플 10-K의 part 1 부분을 살펴 보았습니다. 지난 글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joymarkstory.tistory.com/18

 

애플 10-K 분석 1편 (2021년)

 오늘은 애플의 2021년 10-K 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곧 있으면 2021년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으니, 지난 해 실적은 어떠했는지 미리 살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애플의 회계 연도는 3분기에

joywealthfactory.com

 

 이번 글에서는 애플 10-K의 part 2를 본격적으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시총 1위 기업답게 가장 먼저 주가 관련 이야기가 나옵니다. 

 

자사주 매입

 총 141,521,000 주의 자사주를 매입 하였습니다. 애플이 시총 1위를 유지하는 이유는 단순히 기업의 경쟁력 뿐만 아니라, 애플의 이런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때문이기도 합니다.  

 

 

주가 수익

 기업의 10-K 자료에 이렇게 주가 수익를 비교해 놓는 경우가 흔하지는 않습니다. 재무 상태표가 나오기도 전에 이렇게 주가 분석이 나오는 것은 애플의 주주 친화적인 태도와 주가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5년 전 100불을 각각 애플, S&P 500 index, S&P information technology index, 다우존스 US technology supersector index에 투자 하였을 경우 현재의 수익을 비교한 그래프 입니다. 항상 최고의 수익율을 보이다 2019년 부터는 급격한 상승을 나타 내었습니다. 2019년 부터 투자해두 늦지 않았다는 것이고, 저는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 생각 합니다. 

 

 2016년에 애플을 100불 샀다면 2021년 9월 기준 556불이 되어 있습니다. S&P 500의 2배가 넘는 수준이네요. 

 

Products and service performance

 코로나의 영향으로 성장성이 둔화된 2020년과 달리 2021년에는 확연한 성장세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포화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39%의 성장세를 보여주었고, Mac, IPad, Wearables, Service 부분에서 골고루 20~30%의 성장성을 보여 주었습니다. 

Segment operating performance

 지역별로는 중국에서만 2020년 대비 70%의 매출 성장을 보여 주었습니다. 재미있었던 것은 일본의 매출 비중이 아시아 전체를 합한 것보다 크다는 것입니다. 일본이 가지고 있는 삼성 스마트폰에 대한 거부감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Gross Margin

 Products 의 마진율이 35.3%, service 부분의 마진율이 69.7% 입니다. 전체 마진율이 41.8%로 왜 애플이 시총 1위 기업인지를 보여주는 대목 입니다. 365,817 million USD (원화로 약 438조)의 매출을 올리는데 마진율이 41.8%이니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Operating expense

 R&D 비용은 매출의 6~7% 수준이며, 판매 관리비도 비슷한 수준이네요. 

 

애플 10-K를 보면서 느낀 점은 10-K를 읽는 사람들이 관심 있는 부분을 앞에다 배치하고 보기 좋게 요약을 해두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재무 제표들이 먼저 나오고 그에 대한 분석이 뒤에 따라오는데, 애플은 순서를 바꾸어 핵심을 먼저 전달하고,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한 사람만 뒤에 나오는 재무제표를 찾아볼 수 있게 배치해 두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도 앞에 나온 핵심 내용들로 대부분 궁금한 점을 해소하여 재무제표를 더 상세히 볼 필요을 느끼지 못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현금 흐름표만 간단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업 현금 흐름)

 현금 부자로 알려진 애플답게 영업 현금 흐름이 상당히 좋습니다. 2021년 영업 현금 흐름은 104,038 million USD로 한화로 약 124조 입니다. 당기 순이익 94,680 million USD와 큰 차이가 없어 특이 사항은 없습니다. 

 

 

(투자 현금 흐름)

 2021년도에는 2020년 대비 부동상/시설물 투자 금액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A를 통한 투자는 작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재무 활동 현금 흐름)

 애플의 특징 중 하나인 자사주 매입 트렌드를 볼 수 있습니다. 2019년 부터 트렌드를 보면 66,897, 72,358, 85,971로 계속 증가하는 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 2021년 10-K를 살펴 보았습니다. 1월말에 나올 2021년 4분기의 애플 실적 발표도 벌써 기대가 되네요.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